본문 바로가기

Press

[대구신문] 中 대표 사진작가 왕칭송 개인전 아트스페이스 루모스·을 갤러리중국의 혼란 담은 ‘사회적 다큐멘터리’초창기엔 회화 작업에만 몰두빠른 변화 포착 위해 사진 시작예술가 보다는 현장 기자 같아경제 성장 이면의 어두움 고발왕칭송 작 ‘Follow Him’왕칭송 작 ‘another battle series no.1’베이징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중국 현대사진의 대표 사진작가 왕칭송 사진가의 개인전 ‘The Glorious Life’전이 아트스페이스 루모스(대표 석재현)의 기획으로 ‘아트스페이스 루모스’와 ‘을 갤러리(대표 김을수)’ 두 공간에서 15일까지 동시에 열리고 있다. 2014년 대구미술관 기획 2인전(왕칭송, 정연두) 이후 대구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왕칭송 개인전이다. 설치미술과 행위예술을 접목시켜 중국 현대 사진예술에 반향을 일으킨 그는 이.. 더보기
[영남일보] 韓中수교 30주년…사회 모순 꼬집는 中대표 현대사진작가 '왕칭송' 개인전 15일까지 아트스페이스 루모스와 을갤러리서 동시에 열려 베이징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중국의 대표 현대사진 작가 왕칭송의 개인전 'The Glorious Life'展이 15일까지 아트스페이스 루모스와 을 갤러리, 두 공간에서 동시에 열린다. 2014년 대구미술관 기획 2인전(왕칭송, 정연두) 이후 대구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왕칭송 개인전이다.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아 아트스페이스 루모스 기획으로 열리는 이번 전시는 왕칭송이 지난 20년간 심혈을 쏟은 사진과 영상작업들, 그중에서도 그의 사진적 맥락을 최대한 밀도 있게 읽어볼 수 있는 작품들을 선별해 선보인다. 또한 왕칭송 작품의 대형 스케일이 가지는 느낌을 관람객에게 온전히 전하기 위해 인접한 '을 갤러리'와 협업해 전시를 마련했다.왕칭송은 설치미술과 행위예.. 더보기
[매일신문] 중국 현대사회 모순, 초현실적 풍자…왕칭송 개인전 15일까지 'The Glorious Life' 아트스페이스 루모스·을갤러리中 대표하는 현대사진 작가…개방 이후 혼란 냉소적 비판1997년∼2018년 작업물 전시중국의 대표적인 현대사진 작가 왕칭송(王庆松) 전시 'The Glorious Life'가 15일까지 대구 남구 아트스페이스 루모스와 을갤러리에서 열린다. 2014년 대구미술관이 기획한 왕칭송·정연두 2인전 이후 대구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왕칭송의 개인전이다.이번 왕칭송 개인전은 대형 작품의 느낌을 관람객들에게 온전히 전하고자, 아트스페이스 루모스가 인근 현대미술 전문 전시공간 을갤러리와 협업해 전시장을 마련했다.왕칭송은 설치미술과 행위예술을 접목해, 중국 현대 사진예술계에 반향을 일으킨 인물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스스로의 작업을 '사회적 다큐멘터리'.. 더보기
[영남일보] [커버 스토리] '포토북 르네상스 시대'를 갈구하다(1) 대구, '한국 사진예술 수도'로 명성세계 각국 포토북 800권중 38권 엄선파리페어 공개 후 서울 이어 대구展지역 5개 포토북 전문출판사도 가세 사진은 햇빛의 자손이다. 하지만 그림과는 사뭇 터치가 다르다. 중세시절, 황제와 왕, 성직자들은 그들의 권능에 맞는 그림을 궁중 화가에게 그리게 했다. 임금의 방과 대기실 사이의 긴 복도(갤러리)는 내가 이 정도로 대단한 존재라는 걸 암시하는 별별 성화(聖畵)가 걸렸다. 하지만 이내 그 무겁고 권능에 가득한 성화는 세잔, 고흐, 마네, 모네, 피카소 등에 의해 구현된 현대미술로 대체된다. 그 와중에 마른하늘에 날벼락 같은 존재가 등장한다. 바로 '사진'이다. 그 존재는 '햇살로 그린 작은 그림(Sun Drawn Miniature)'으로도 불린다. 전쟁이나 다른 .. 더보기
[경기신문] 사진으로 전하는 나무의 울림, 사진전 ‘나무의 공명’ 주벨기에한국문화원서 열린 ‘나무의 공명’ 첫 국내 순회전‘나무’가 가진 기운, 생명력, 숭고함 담아낸 사진전김중만, 김신욱, 김대수, 이정록 사진 작가 참여9월 13일부터 10월 31일까지, 아트스페이스J(제이) ▲ 이정록, Tree of Life 6-2-7, 900x1200, C-print, 2017. (사진=아트스페이스J 제공)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이 끝나지 않는 요즘 푸른 숲이 주는 위로가 간절하다. 내리쬐는 햇빛을 피할 수 있게 그늘이 돼주는 나무의 너그러움도 고맙다. 3억 년 전부터 지구를 지켜온 나무. 그저 가만히 하늘을 이고 서있는 듯 하지만 나무도 숨을 쉬고, 새 생명을 만들고, 살아남기 위해 경쟁하며, 병이 들고 죽는다. 나무의 삶도 우리 인간의 삶과 별반 다를 게 없다. 이 나무를 .. 더보기
[영남일보] [단상지대] 지역 총서를 시작하는 마음 7월30일 토요일. 건들바위 부근에 위치한 사진 전문공간 아트스페이스 루모스에서 열리는 전시 연계 세미나에 연사로 초대받았다. 현재 루모스에서는 오는 28일까지 '사진책' 행사가 열리고 있는데, 이름하여 '파리-포토 애퍼처 재단 포토북 어워즈 전시'이다. 세계적인 사진 아트페어 '파리-포토'와 미국 사진 재단 '애퍼처 재단'이 함께 선정한 2022 사진책 38종을 선보이는 아시아 순회전이다. 이 수상작들을 대구에서 관람할 수 있다는 건 분명 고무적인데, 루모스 측은 여기에 더해 대구 기반 사진책 출판사 네 곳을 초대해 연계 전시를 꾸림으로써 '지역 사진책 출판'이라는 화두를 제시했다. 지난 토요일에 있었던 행사는 이와 연계된 토크로서 나는 출판사 기획에 대해 발표했다. 그런데 이 자리가 그 어느 때보다 .. 더보기
[경북일보] 포토북 어워즈 대구에디션 30일 오픈…800여 권 중 최종 수상 38권 소개 8월 13일·27일 전문가 초청 대화2021 Paris Photo Aperture Foundation Photobook Awards 대구에디션 포스터. 현대 사진에 있어 포토북은 매우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예술전문 출판사에서 작가, 예술기관과의 긴밀한 협업으로 특색 있는 포토북을 꾸준히 출간하고 있으며 이들의 유통을 돕는 해외 유수의 포토북 페어, 페스티벌도 여전히 건재하다.동시대에는 포토북 자체가 여느 예술작품처럼 수집과 연구의 대상이 되어 전시와 출판의 중요한 화두로 다뤄지고 있다. 이처럼 포토북을 둘러싼 열기는 일종의 현상 'Photobook Phenomenon'으로 자리잡은 지 오래다.디지털 시대에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인쇄된 포토북’에 주목하는 것은 해당 매체가 갖는 실험성과 창의성에.. 더보기
[한국경제TV] 중앙대학교 사진센터(CCP), 여섯 번째 ’포토북 라운지 토크‘ 개최 중앙대학교 사진센터(CCP)가 지난 27일 1부와 2부로 나눠 여섯 번째 ’포토북 라운지 토크‘를 중앙대학교 102관(R&D센터) 3층 대강당에서 진행했다고 학교 측이 2일 밝혔다.이번 토크는 중앙대학교 사진센터(CCP)와 한국사진학회가 ‘한국사진사(문학동네)’ 발간을 기념해 특별 포토북 라운지 토크 ‘한국사진사와 사진의 미래’를 공동 주최했다. 후원은 월간 사진예술,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가 협력했다.1부에서는 저자인 한국사진 아키비스트이자 연구자인 박주석 교수의 주제발표에 이어 2부에서는 3명의 전문가 패널들이 각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한국사진사’ 발간의 의미 등을 발표했다. 이어 한겨레신문 노형석 미술문화재 전문기자의 사회로 주제토론과 함께 청중과의 질의응답의 시간을 가졌다.중앙대학교 사진센.. 더보기
[한겨래] 이삿짐 쓰레기로 버려지기 직전 기적처럼 발견된 이 사진 “엇, 저 상자는 뭐지?” 낡은 한옥의 대청마루 아래 어두컴컴한 구석에 팽개쳐진 궤짝 하나. 거기에 20세기 초 한국 사진의 역사를 담은 명작들이 살아 숨 쉬고 있었다. 1975년 9월, 출판사진부의 30대 기자였던 최인진은 신문사 대선배인 사진가 신낙균(1899~1955)의 수원 옛집을 찾아갔다가 한국 사진사에 길이 남을 대발견의 주역이 된다. 한옥 마룻장 아래에서 일제강점기인 1920~30년대 신낙균의 주요 작품들과 관련 사료들이 담긴 궤짝을 찾아낸 것이다. 최인진은 몇년 전부터 한국 사진사 정리 작업을 시작해 틈틈이 연구활동을 벌이던 중이었다. 신낙균이 일제강점기 사진계에서 활동한 자료 실물들을 연구 자료로 확보하고 싶어 방문했더니, 하필이면 그 집안이 이사 준비로 부산했다. 며칠 뒤 서울로 이사.. 더보기
[신동아] 사(寫)를 통한 진(眞)의 완성[책 속으로] 한국사진사 1839년 8월 19일 프랑스인 루이 다게르가 사진술을 발명한 뒤 사진은 전 세계 인류 모두가 향유하는 대중문화가 됐다. 서양에서 사진은 어엿한 예술의 한 분야로 인정받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100년의 긴 역사에도 여전히 미술사 한 켠에 박혀 있다. 한국 사진의 미적 연구가 부족한 환경에서 등장한 박주석(명지대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교수)의 ‘한국사진사’는 우리 사진의 진면목을 찾기 위한 사진계의 움직임 중 하나다.한국 사진을 발굴하고 알리는 큐레이터와 아키비스트로 활동해 온 박 교수가 최근 출간한 ‘한국사진사’는 집필에서 완성까지 30년의 시간이 걸렸다. 수록 도판만 300여 점에 달한다. 방대하고 생생한 자료를 통해 조선의 사진 도입 과정부터 현대미술의 중심에 선 현재까지 우리의 사진 역사를 사료(史料.. 더보기
[동아일보] 한국사진史 핵심은 전통 초상화의 정신 근현대작가展 소장품 출품 박주석 교수겉모습 아니라 내면까지 표현… 렌즈 응시하는 서양기법 거부얼굴보다 실루엣-정서 보여줘조선시대 왕의 일거수일투족을 생생하게 기록한 ‘승정원일기’를 보면 1713년 숙종의 초상화 명칭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일반인의 얼굴을 그려놓은 것을 ‘사진(寫眞)’, 왕의 초상화를 ‘어진(御眞)’이라 칭한 기록이 나온다.한국 사진의 역사를 망라한 ‘한국 사진사’를 지난해 11월 출간한 박주석 명지대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교수(사진)는 대표적인 ‘사진 컬렉터’다. 최근 서울 마포구의 한 카페에서 만난 그는 “사진(寫眞)이란 단어가 일본어와 한자가 같다 보니 일본으로부터 유래된 말로 알려져 있지만 조선시대에 ‘초상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진’을 사용했다”고 설명했다.서울 강남구 언주라운드에.. 더보기
[동아일보] 동양 초상화처럼… 인물 내면 끌어낸 한국 근대 사진 사진컬렉션 지평. 언주그라운드 제공조선시대 왕의 일거수일투족을 생생하게 기록한 ‘승정원일기’를 보면 1713년 숙종의 얼굴을 그릴 때 이야기가 나온다. 어용도사도감도제조였던 이이명은 ‘어진’이라는 명칭이 가장 적합하다고 말한다. 일반인들의 얼굴을 그려놓은 것을 ‘사진(寫眞)’이라 하니 왕의 초상화는 ‘어진(御眞)’이 타당하다고 본 것이다.박주석 명지대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지난해 11월 한국사진사를 총망라한 ‘한국사진사’를 발간하면서 “‘사진’은 우리 민족 고유의 용어”라고 밝혔다. 최근 만난 그는 “일본에서도 ‘Photography’를 ‘寫眞’이라 표현하기 때문에 일본으로부터 유래된 말로 알려졌지만 조선시대에 ‘초상화’를 지칭하는 용어가 ‘사진’이었다”고 했다.서울 강남구 언주라운드에서 열리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