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ess

[경북일보] 대구 남구 아트스페이스 루모스, ‘2023온빛사진상’ 수상자 사진전 9월 3일까지2023온빛사진전 포스터 온빛다큐멘터리(회장 석재현) 주최 ‘2023온빛사진상’ 수상자들의 사진전이 갤러리 혜윰(광주), 류가헌(서울), 갤러리 탄(대전)을 거쳐 18일부터 9월 3일까지 대구 남구 소재 아트스페이스 루모스에서 열린다.올해도 다큐멘터리 사진 프로젝트의 공모와 전문가, 일반인의 심사를 거쳐 3개의 우수 작품을 선정했다.온빛다큐멘터리 사진상은 온빛-후지필름상’과 ‘온빛-혜윰상’ 수상자 2명을 선정해 작업 지원 목적으로 각각 500만원 및 카메라 장비 지원을 하며, 온빛신진사진가상은 35세 이하 젊은 사진가 1명을 선정해 200만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수상작은 서울, 광주, 대전, 대구 순회전시를 통해 소개된다.이번 선정된 온빛다큐멘터리 수상작은 이두기의 ‘하나의 방,두 개의 기억.. 더보기
[매일신문] 아트스페이스 루모스, ‘2023 온빛사진상’ 수상작 사진전 개최 8월 18일부터 9월 3일까지온빛다큐멘터리가 주최하는 '2023 온빛사진상' 수상자들의 사진전이 아트스페이스 루모스(대구 남구 이천로 139 5층)에서 열리고 있다. 이번 사진전은 광주, 서울, 대전을 거쳐 대구에서 열리는 순회전이다.올해 온빛사진상은 다큐멘터리 사진 프로젝트를 공모하고 전문가, 일반인의 심사를 거쳐 3개의 우수 작품을 선정했다. '온빛 혜윰상', '온빛 후지필름상' 수상자 2명에게는 작업지원금 500만원과 카메라 장비 지원을 하며, 35세 이하 젊은 사진가에게 주는 '온빛 신진 사진가상'은 2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공모 결과 ▷최형락 '배어든 전쟁'(온빛 혜윰상) ▷손승현 'Homecoming: 타향, 고향, 귀향'(온빛 후지필름상) ▷이두기 '하나의 방, 두 개의 기억'(온빛 신진.. 더보기
[남도일보] 세 개의 시선으로 발견한 다큐멘터리 사진의 가치 갤러리 혜윰 ‘온빛 수상작’ 전시최형락·손승현·이두기 작가 등 선정광주 이어 서울·대전·대구 등 순회최형락 作 ‘배어든 전쟁’ 80년 5월 국가에 의해 고립됐던 광주의 상황은 국내보단 해외 외신들에 의해 알려지기 시작했다. 일본에서 우연히 광주 상황을 알게된 한 외신기자가 처절했던 역사적 현장을 카메라 앵글에 담았고 외신을 통해 알려지면서 상황의 심각성이 대두됐다.이는 사회 현상 및 역사를 앵글을 통해 기록하는 ‘다큐멘터리’ 사진 덕분이다. 이처럼 과거 뿐 아니라 현재에도 전쟁·분쟁 지역 등 세계 곳곳에서 역사의 현장을 담는 ‘찰칵’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다큐멘터리 사진을 통해 민주화의 현장을 알렸던 광주에서 다큐멘터리 사진의 가치를 되짚어보는 전시가 마련돼 눈길을 끈다.지역 유일 사진 전문 갤러리 .. 더보기
[아시아경제] [언스타그램]사진의 제의(祭儀) 사진이 사람을 기억하는 방식지난해 작고한 사진가 고현주가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매달려 작업한 사진은 제의(祭儀)였다. 오래전 고향 제주도의 비극인 4.3 사건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그의 방식으로 위로하는 일이었다. 사진가는 병을 얻어 고향인 제주도에 내려가 요양과 치료를 하면서도 사진을 놓지 못했다. 병중에서도 그가 하고 싶었던 일은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먼저 떠난 이들의 지나간 삶을 살피고 위로하는 일이었다. 사진은 세상을 떠난 이들을 위로하는 것이라기보다 지난 시간을 그의 방식으로 기억하는 일이었다. 희생자들의 유품과 유족들을 사진으로 담았다. 그 결과로 그는 ‘기억의 목소리’라는 사진집을 냈고 전시회를 열었다. 이 작업은 이어져 세 번의 전시회와 세 권의 책으로 발표했다. 마지막 세 번째 작업(‘기억.. 더보기
[영남일보] [동네뉴스] 경주 칠불암 예진 스님 "늘 남산의 부처와 함께하겠다" 루모스 사진전 초청 강연 통해 남산 가치 알려물 없는 칠불암에 외국인들도 템플스테이 예약예진 스님 "사람이 부처되는 메시지 전파하겠다"'불국토' 경주 남산을 이야기하는 자리가 지난달 28일 대구 남구 이천동에 자리한 아트스페이스 루모스에서 열렸다.석재현 루모스 관장의 기획으로 경주 남산에 얽힌 역사와 종교, 문화에 대한 가치를 사진으로 알리고자 마련한 전시에서 칠불암 주지 예진 스님의 초청 강연이 있었다. 신라 천년의 역사를 품고 있는 남산의 불상과 풍경을 사진으로 담은 작가들과 스님, 시민 등 50여 명이 모였다.남산은 494m밖에 안 되지만 깊이가 있는 산이다. 동서 4km, 남북 8km에 걸쳐 길게 뻗어 있고, 신라 건국 이래 역사가 집중된 곳이다. 박혁거세의 출생 터인 나정에서 시작해 최초의 궁궐.. 더보기
[경북매일] 작가 8명이 렌즈에 담은 경주 남산대구 아트스페이스 루모스7월 2일까지 사진전 이어가 박근재作대구 아트스페이스 루모스는 오는 7월 2일까지 경주 남산을 기록한 8명의 사진작가의 작품을 소개하는 ‘경주 남산, 거룩한 불국토’ 사진전을 선보인다.‘사사성장 탑탑안행(寺寺星張 塔塔雁行)’. 삼국유사가 전하는 경주 남산의 모습이다. 절들이 밤하늘의 별처럼 펼쳐져 있고 탑들이 기러기떼처럼 줄지어 있다는 뜻이다. 이렇듯 경주 남산은 천년 신라의 역사를 고스란히 품고 있는, 석가모니 부처가 머문다는 전설이 살아 숨 쉬는 산으로 경주를 대표하는 영산(靈山)이다.남산은 높이가 약 500m로 야트막한 산이지만, 북쪽 금오봉과 남쪽 고위산에 이르는 8㎞ 산자락엔 왕릉 13기, 산성 4곳, 절터 150곳, 불상 130구, 탑 100여 기 등 700여 점에 이르는 문화재 유적이 흩어져 있다. 그렇기에 누군가는 이.. 더보기
[대구신문] ‘경주 남산’ 전, 불교적 이상향·푸르른 남산의 자연을 동시에 7월 2일까지사진작가 8명 생생한 기록백종하 작 ‘불곡’ 신라인들의 삶과 애환에 대한 생생한 증언을 듣고 싶다면 경주 남산으로 가면 된다. 경주 남산은 그야말로 불교가 융성했던 신라 시대의 유물인 사찰이나 석불들의 보고이기 때문이다. 남산에는 땅위에 솟아있는 거대한 바위에 새겨진 불상, 바위를 깎아 만든 석탑은 물론이고, 절터와 매몰되어 있는 불교 유물들이 곳곳에 자리하고 있다. 남산은 신라인들의 불교문화에 녹여냈던 삶의 생생한 기록들인 것이다.신라에게 불교는 국가의 통치이념이며 신라인들의 삶에 대한 희망의 증거였다. 아트스페이스 루모스가 개막한 경주 남산을 기록한 8명의 사진작가와 함께 하는 ‘경주 남산, 거룩한 불국토’ 사진전에서 경주 남산의 생생한 기록을 만날 수 있다.‘삼국유사’에서는 경주 남산을.. 더보기
[영남일보] 아트스페이스루모스 오는 7월2일까지 '경주 남산, 거룩한 불국토' 사진전 김세원, 박근재, 배중선, 백종하, 변명환, 윤길중, 이순희, 이호섭 등 8명의 작가 참여각각의 개성 담긴 경주 남산의 모습 감상 기회아트스페이스 루모스는 28일부터 오는 7월2일까지 경주 남산을 기록한 8명의 사진작가와 함께 '경주 남산, 거룩한 불국토' 사진전을 선보인다.'사사성장 탑탑안행(寺寺星張 塔塔雁行)', 삼국유사가 전하는 경주 남산의 모습이다. 절들이 밤하늘의 별처럼 펼쳐져 있고 탑들이 기러기 떼처럼 줄지어 있다는 뜻이다. 이렇듯 경주 남산은 천년 신라의 역사를 고스란히 품고 있는, 석가모니 부처가 머문다는 전설이 살아 숨 쉬는 산으로 경주를 대표하는 영산(靈山)이다.남산은 높이가 약 500m로 야트막한 산이지만, 북쪽 금오봉과 남쪽 고위산에 이르는 8㎞ 산자락엔 왕릉 13기, 산성 4곳, .. 더보기
[대구신문] 윤창수 개인전 '이웃한 세계', 아트스페이스 루모스에서 21일까지 사진으로 보는 부산이야기…부산의 뿌리, 근원, 기원 포착타인을 향한 이해와 타인과의 소통으로 근원에 다가감원도심 연작 통해 역지사지 구현 윤창수 작 '주인공프로젝트 01'. 아트스페이스 루모스 제공 인간의 삶 자체가 고통이지만 고통의 근원을 따지고 들어가면 관계성도 큰 몫을 차지한다. 인간의 모든 환희와 고통들이 연결성으로부터 파생되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때때로 연결성으로부터의 완전한 탈출을 시도하기도 하는데, 그것이 여행이다. 여행지의 모든 것들은 관계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철저하게 타자화가 가능하며, 그것은 곧 불필요한 감정들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한다.   사진작가 윤창수가 피사체를 바라보는 시선은 동일시다. 타자화를 통해 감정의 자유를 느끼기보다 동일시를 통해 감정의 깊은 협곡 속으로 오히려 빨려들어.. 더보기
[경북일보] 아트스페이스 루모스 ‘경주 남산, 거룩한 불국토’ 사진전 오는 23일부터 8명의 사진작가 참여28일 오후 3시 칠불암 예진스님 강연아트스페이스 루모스(대구 남구 이천로 139, 5층)는 오는 23일부터 7월 2일까지 경주 남산을 기록한 8명의 사진작가와 함께 ‘경주 남산, 거룩한 불국토’ 사진전을 선보인다.‘사사성장 탑탑안행(寺寺星張 塔塔雁行)’, 삼국유사가 전하는 경주 남산으로 절들이 밤하늘의 별처럼 펼쳐져 있고 탑들이 기러기 떼처럼 줄지어 있다는 뜻이다.이렇듯 남산은 천년 신라의 역사를 고스란히 품고 있는, 석가모니 부처가 머문다는 전설이 살아 숨 쉬는 산으로 경주를 대표하는 영산(靈山)이다.칠불암 마애불상군. 남산은 높이가 약 500m로 야트막한 산이지만, 북쪽 금오봉과 남쪽 고위산에 이르는 8㎞ 산자락엔 왕릉 13기, 산성 4곳, 절터 150곳, 불상 .. 더보기
부산 원도심의 매력 담은 사진전 대구서 열린다...윤창수 기획전 '이웃한 세계' 아트스페이스 루모스 21일까지작가의 원도심 시리즈 감상 기회 아트스페이스 루모스는 오는 21일까지 부산 원도심의 매력적인 모습을 담는 사진작가 윤창수의 기획전시 '이웃한 세계'를 선보인다.윤 작가는 2011년부터 부산 원도심을 기록하기 시작했으며, 그곳에 생기를 불어넣는 주민들의 삶에 스며들어 작품활동을 이어왔다. 터의 정면성을 컷 촬영한 뒤 주변부를 잘라내고 연속적으로 이어붙여 여러 시점의 사진으로 담아냈으며 항구를 품은 터전과 사람들을 주인공으로 드러냈다.한 때 벽화마을로 불리며 유명세를 치렀던 부산 남구 문현동 돌산마을 역시 그에겐 '이웃한 세계'다. 공동묘지 위에 만들어진 돌산마을을 담은 그의 작업은 화각 속에 잠재된 색 채널의 특이성을 부각함으로써 '이질적이고 비평범한 것의 조화'를 사진으로 표.. 더보기
[경북일보] 대구 아트스페이스 루모스, 26일부터 윤창수 '이웃한 세계' 기획전시회…내달 21일까지 '매력적인 도시' 부산의 기원을 말하다대구 아트스페이스 루모스(대구광역시 남구 이천로 139)가 오랜 세월 자신의 삶의 터전인 부산에서 Origin, 근원과 뿌리를 포착해 온 사진가 윤창수의 ‘이웃한 세계’를 26일부터 5월 21일까지 기획 전시로 선보인다.과연 작가가 생각하는 부산의 뿌리(origin)은 어디일까.그는 우리나라 최초의 무역항으로 개항한 부산항을 부산의 근원이라 말한다.윤창수는 부산의 오리진을 사진적 정면성으로 담아내기 위해 자신이 처음 마주하고, 또한 자신이 처음 살기 시작한 곳, 자신의 청춘이 고스란히 스며든 부산과 부산 원도심을 2011년부터 기록하기 시작했고 그곳에 생기를 불어넣는 주인공들의 삶에 스며들어 오랜 작업 끝에 탄생한 것이 바로 이번 전시 ‘이웃한 세계’다.일반적인 렌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