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스페이스 루모스에서 2021년의 마지막, 그리고 2022년 첫 전시로 구도하 사진작가의 ‘버려진 파라다이스’전시를 선보인다.
대구·경북의 신진 사진가인 구도하 작가는 경북대학교 통계학과를 졸업 후 미국에서 안정적인 일자리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진작가에 대한 꿈을 이루기 위해 경일대학교 사진학과에 편입했다.
이번에 선보일 ‘버려진 파라다이스는 도시풍경에 대한 관심으로 대구의 재개발 지역을 찾아다니다 북구 고성동에서 마주한 특별한 경험을 담아낸 전시로서, 모두가 떠났다고 예상했던 도시 속에 우연히 텃밭을 발견했고, 소멸만이 남아있으리라 생각했던 어둠과 폐허 속 생명이 함께 공존하고 있는 장면을 담아냈다.
재개발이란 단어를 생각하면 주로 사회경제의 개발논리에 입각한 성장과 발전, 번영의 풍경과 함께 사라질 상황에 처해 있거나 그로부터 오랫동안 소외돼 있었던 고립의 풍경이 함께 떠오르기 마련이다. 하지만 구도하의 사진은 고립의 풍경과 전혀 다른, 상반된 생명과 소멸의 풍경이 공존하는 아름답도록 처연한 장면이다. 그렇게 구도하의 사진 안에는 두 가지의 이질적 사회현실이 동일 프레임 안에 치밀하게 중첩돼 있다.
주지하다시피 각 지자체가 힘 있게 밀어붙였던 이른바 도시 재개발 사업으로 기존 삶의 풍경은 요동치듯 물리적으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돼 온 전래 도시 풍경은 마치 성형을 하듯 몇몇 세련된 현대적 미감의 표정으로 획일화되거나 생소한 질서와 표정으로 새롭게 태어나고 있다.
이번 전시는 이렇게 휘몰아치는 소멸의 폭풍 아래 놓여있는 뿌리내린 생명의 풍경, 상황에 따라 그것은 희망의 풍경이자 긍정적 변화일 것이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절망의 상황이자 받아들이기 힘든 현실을 ‘버려진 파라다이스’라는 제목과 함께 선보인다. 구도하 작가는 개발을 둘러싸고 양립할 수밖에 없는 이러한 충돌, 대립의 감정이 교차를 통해 사라질 풍경에 대한 관심을 아름답고, 반성적으로 환기시키고 있다.
또한 웹상 이미지가 익숙한 시대에 전시공간의 역할에 대한 작가의 고민의 결과를 선보일 예정으로, 작가가 마주했던 특별한 경험과 장면을 대중이 함께 경험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전시를 구성했다.
이 사업은 2021 경북문화재단 청년신진예술인 발굴육성지원사업으로 진행됐다.
곽성일 기자kwak@kyongbuk.com
'Pr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신문] 아트스페이스 루모스 구도하 '버려진 파라다이스'전 (0) | 2025.03.31 |
---|---|
[영남일보] [놓치면 후회!] 구도하의 '버려진 파라다이스' , 31일부터 내년 1월23일까지 아트스페이스 루모스 (0) | 2025.03.31 |
[KBS뉴스 대구] [문예현장] 이토록 빈, 숨을 고르다 (0) | 2025.03.31 |
[대구신문] 아트스페이스 루모스, 김병태 사진전 (0) | 2025.03.31 |
[영남일보] 사진가 김병태, 26일부터 12월26일까지 아트스페이스 루모스서 개인전 (0) | 2025.03.31 |